황벽나무의 생육 및 생김새
-한반도 전국 깊은 산속 계곡 옆 등 물기가 있는 비롯한 땅에서 자랍니다
-낙엽이 지는 큰키 나무로 높이가 10여 미터에 이르게 자라며 암수 다른 나무입니다.
이명으로 황백나무, 황경나무라고도 합니다.
황벽나무
-확벽 잎은 긴 달걀 모양입니다.
잎의 양 끝은 뾰족하고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와 털이 나 있습니다.
잎은 서로 마주나며 새의 날개 깃 모양으로 5~13개 정도가 달립니다
-가을에 통과 같은 열매가 둥근 모양의 핵과로 열립니다.
열매의 지름은 1센티가 되며 다닥다닥 붙은 열매의 껍질을 버리고 종자는 말려서 약으로 쓰는데 이를 황백자라 합니다.
황벽나무 효능
황벽나무 열매의 한약명은 황백자입니다.
-황백자는 허열을 없앱니다.
황백은 습열에 의해 일어난 이질 황달 구강궤양 백대하 등의 질병 치료에 씁니다.
음액이 부족하여 손 발 가슴에 열이 날 때도 사용합니다.
황백자 먹는법
-습열성 간열 초기에 온몸이 누렇게 되며 열이 나고 소변이 황색인 경우에는 황백자에 치자와 감초를 더해 씁니다.
-세균성 이질 초기에 열이 나고 복통과 이급후중의 증상에는 황백에 백두옹, 마치현과 목향 등을 가해 씁니다.
-자궁이나 경부에 염증이 생겨서 습열이 쌓이고 백대하가 증가하는 여성질환이면 황백 비해 검인 차전자를 달여 복용합니다.
-소변이 줄고 오줌 누는 횟수가 많으며 배뇨통이 있으면 방광에 습열이 심하면 이런 증상이 있는데 이때 비해 차전자 복경을 더해 씁니다.
-창양종독 습진등에는 초기에 발적 종청이 생겨 가렵고 통증이 있을 때는 황백 대황 천화분을 가루 내어 물로 섞어 환부에 바릅니다.
-여름철의 습진 초기의 가려움증과 만성 구분열에는 황백에 방풍 백선피 백지 금은화 연교를 넣어 달여서 복용합니다.
-음허 발열 골증 도한 유정에는 지모 지황 구판을 더해서 달여 복용합니다.
-편도선염에는 황백자를 가루로 만들어 1g을 물에 타서 목을 헹굽니다.
황백자 부작용
황백나무 열매의 특별한 부작용은 보고된 바가 없는 것 같습니다.
황벽나무 열매는 새들이 즐겨 먹는 열매입니다.
물론 뭐든지 많이 먹으면 탈이 난다는 것은 물가에 가면 위험할 수 있다는 것과 같이 진리.
'건강정보 > 식품 효능 부작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녹차의 효능 - 다이어트와 자외선 화상에 좋은 음식 녹차 (0) | 2019.05.17 |
---|---|
매생이 효능과 부작용 (0) | 2019.05.15 |
황벽나무 효능 & 부작용 황백자 먹는법 (1) | 2019.05.15 |
양파의 효능 - 혈소판 응집을 막아주는 삼황화물 (0) | 2019.05.07 |
이마트 블랙망고수박 고르는법과 노란수박 맛 효능 칼로리 (0) | 2019.05.02 |
오키나와 오크라 효능 부작용 / 오쿠라 요리 (オクラ:okra)를 아세요? (0) | 2019.03.10 |
새들도 즐겨먹을 정도면 안전하겠죠 ~ . 기회가 있으면 먹어보고싶네요
답글